전승일의 <AI기술융합 진경산수 미디어아트 프로젝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전승일의 <AI기술융합 진경산수 미디어아트 프로젝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2)
    • 공지사항 (1)
    • 감독 소개 (1)
    • 프로젝트 연재 (10)
    • 진경산수 아카이브 (5)
    • 관련 자료 (5)
홈태그방명록
  • 공지사항 1
  • 감독 소개 1
  • 프로젝트 연재 10
  • 진경산수 아카이브 5
  • 관련 자료 5

검색 레이어

전승일의 <AI기술융합 진경산수 미디어아트 프로젝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이태호 교수

  • 겸재 정선 <금강전도(金剛全圖)> 미디어아트 작업 (감독: 전승일)

    2025.02.10 by 진경산수

  • [도서]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이태호 지음)

    2024.11.04 by 진경산수

겸재 정선 <금강전도(金剛全圖)> 미디어아트 작업 (감독: 전승일)

진경산수, 비로소 조선 땅의 아름다움을 그리다! 겸재 정선의 를 필자가 미디어아트 작업을 위해 부분 재구성했다. 이미지는 자유이용저작물(public domain)이다. (金剛全圖)는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이 1734년(영조 10년)에 내금강의 실경을 직접 보고 그린 우리나라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대표적인 걸작이다. 수묵담채로 그렸으며 그림의 크기는 가로 94.5cm, 세로 130.8cm이고, 국보 제217호로 지정되어 있다. 내금강은 금강산의 서부지역으로 비로봉이 주봉을 이루며 기암절벽과 폭포들이 조화되어 아름다운 자연미와 계곡미를 펼쳐 보인다. 내금강은 8개 탐승구역으로 나눈다. 정선은 입구인 장안사부터 비로봉까지 샅샅이 탐승하고 한 화면에 재배치하여 그렸다. 는 원형구도를 이..

프로젝트 연재 2025. 2. 10. 00:26

[도서]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이태호 지음)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아름다운 우리 땅 그림 순례, 도원을 꿈꾸다 조선 땅을 만나다 2008년 출간된  개정판. 미술사가 이태호 교수가 1980년대부터 30년간 남도부터 금강산까지 직접 찾아 다니며 조선의 독자적인 회화 양식으로 자리 잡은 조선 후기 진경 산수화와 실제 풍경을 비교하고 연구한 살아있는 기록이다. 저자는 겸재 정선과 단원 김홍도를 비롯한 우리 화가들이 눈으로 누리고, 화면에 담아낸 우리 땅의 실제를 찾아 사진에 담았다. 그리고 카메라의 화각을 들어 인간의 보편적인 시각과 화폭에 담긴 산수의 시야를 비교하였다. 영산인 인왕산에서 지금은 다시 갈수 없게 된 금강산까지 저자는 산수화 속 풍경을 수 차례 오르내리며 그림의 실제를 찾기 위해 애썼고 이는 학자 본연의 노력이 돋보이는 ..

진경산수 아카이브 2024. 11. 4. 22:4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전승일의 <AI기술융합 진경산수 미디어아트 프로젝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