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AI기술융합 진경산수 미디어아트 프로젝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전승일의 <AI기술융합 진경산수 미디어아트 프로젝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2)
    • 공지사항 (1)
    • 감독 소개 (1)
    • 프로젝트 연재 (10)
    • 진경산수 아카이브 (5)
    • 관련 자료 (5)

검색 레이어

전승일의 <AI기술융합 진경산수 미디어아트 프로젝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ai융합 진경산수 미디어아트

  • [공지] 전승일 감독의 <AI기술융합 진경산수 미디어아트 프로젝트>

    2024.11.06 by 진경산수

  • 전승일 감독 프로필 (2024)

    2024.11.06 by 진경산수

  • 겸재 정선 <금강전도(金剛全圖)> 미디어아트 작업 (감독: 전승일)

    2024.11.05 by 진경산수

  • 겸재 정선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미디어아트 작업 (감독: 전승일)

    2024.11.05 by 진경산수

  • 겸재 정선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미디어아트 작업 (감독: 전승일)

    2024.11.05 by 진경산수

  • 겸재 정선 <박연폭도(朴淵瀑圖)> 미디어아트 작업 (감독: 전승일)

    2024.11.05 by 진경산수

  • [도서]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이태호 지음)

    2024.11.04 by 진경산수

  • [도서]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이태호 지음)

    2024.11.04 by 진경산수

[공지] 전승일 감독의 <AI기술융합 진경산수 미디어아트 프로젝트>

Social media, AI, VR, MR, XR, and Immersive Art 진경산수 미디어아트 프로젝트 Scenery Landscape Media Art Project 감독 : 전승일제작 : 오토마타 공작소  https://scenerylandscape.tistory.com/" data-og-description="전승일의 블로그 입니다." data-og-host="scenerylandscape.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scenerylandscape.tistory.com/" data-og-url="https://scenerylandscape.tistory.com"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

공지사항 2024. 11. 6. 15:17

전승일 감독 프로필 (2024)

전승일 全承逸 Chon Seung-il 감독 프로필  1965년 출생명지고등학교 졸업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동국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과 졸업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교수 역임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부 초빙교수 역임계원예술대학교 공간연출과 겸임교수 역임 2011~2016 : KT&G 상상마당 아카데미 책임강사2019~2021 :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융합예술 컬럼 연재 (97회) 현재 대표감독으로독립 애니메이션, AI Film, 미디어아트, 오토마타, 키네틱 아트 창작 및 연구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Filmography 1992  (단편애니메이션, 4분)1994  (단편애니메이션, 3분 17초)          - 1995 서울국제만화페스티벌 교육영화상1995  (단편애니메이션, 3..

감독 소개 2024. 11. 6. 15:16

겸재 정선 <금강전도(金剛全圖)> 미디어아트 작업 (감독: 전승일)

겸재 정선    진경산수, 비로소 조선 땅의 아름다움을 그리다! 겸재 정선의 를 필자가 미디어아트 작업을 위해 부분 재구성했다. 이미지는 자유이용저작물(public domain)이다. (金剛全圖)는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이 1734년(영조 10년)에 내금강의 실경을 직접 보고 그린 우리나라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대표적인 걸작이다. 수묵담채로 그렸으며 그림의 크기는 가로 94.5cm, 세로 130.8cm이고, 국보 제217호로 지정되어 있다. 내금강은 금강산의 서부지역으로 비로봉이 주봉을 이루며 기암절벽과 폭포들이 조화되어 아름다운 자연미와 계곡미를 펼쳐 보인다. 내금강은 8개 탐승구역으로 나눈다. 정선은 입구인 장안사부터 비로봉까지 샅샅이 탐승하고 한 화면에 재배치하여 그렸다. ..

프로젝트 연재 2024. 11. 5. 00:26

겸재 정선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미디어아트 작업 (감독: 전승일)

겸재 정선    仁王霽色圖)>는 겸재 정선이 76세(영조 27년, 1751년)에 다시점 합성 방식으로 실경(바위산)을 재구성한 독창적인 화풍의 그림이다. 미국의 AI 프로그램 런웨이(Runway)에 를 넣어 영상 생성 작업을 시도해보았다. 위 화면을 보다시피 결과는 대실망. 진경산수로서의 의 특징은 다 사라지고 정체불명의 중국풍 데이터로 생성되었다. 심지어 주봉 위쪽 하늘에 난데없이 궁궐이 만들어졌다. 정선과 이병연이 시화를 나누던 막역한 친구사이인건 맞지만, 그의 죽음과 그림이 완성된 시기에 차이가 있어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는 우리나라 국보 제216호이다. '인왕(仁王)'은 불법의 수호신 '금강역사(金剛力士)'이다. 그리고 기사 검색해보니 1939년 일제는 인왕산 병풍바위에 호국불교..

프로젝트 연재 2024. 11. 5. 00:26

겸재 정선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미디어아트 작업 (감독: 전승일)

겸재 정선   겸재 정선 (1741~1759) 중에서 현재의 미사리 부근을 그린 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그려보았다. 은 서울 근교와 한강변의 명승명소를 그린 진경산수화로 밝고 산뜻한 녹색과 연두색으로 칠하여 산뜻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러한 청록 담채법(淡彩法)은 정선 화풍의 지평이 확대된 면모를 보여준다. 한강 중에서도 서울 주변의 한강을 일컬어 ‘경강(京江)’이라 불렀는데, 조선후기에는 광진에서 양화진까지의 강줄기를 경강이라 하였다. 경강은 도성 안의 시장에 미곡, 목재, 어물, 소금 등을 공급하면서 유통망의 중심 역할을 하였다. ‘경교’에는 경강 교외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는데, 은 현재의 양수리 부근에 있는 녹운탄(綠雲灘)과 독백탄(獨栢灘)에서 시작하여, 경강에서 행주산성까지 이르는 한강..

프로젝트 연재 2024. 11. 5. 00:25

겸재 정선 <박연폭도(朴淵瀑圖)> 미디어아트 작업 (감독: 전승일)

겸재 정선    겸재 정선의 를 미국 AI 프로그램 Runway에 넣어 영상 생성을 시도해보았다. 이번에도 결과는 실망스럽다. 그림을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 “박연폭포는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을 대표하는 절경으로 송도삼절(松都三絶) 중 하나로서 금강산의 구룡폭포, 설악산의 대승폭포와 함께 우리나라 삼대명폭으로 일컫는다. 조선시대 박연폭포 그림 가운데서도 웅장함을 가장 잘 살려낸 작품이 정선의 다. 아름다운 자연의 감동 이상으로 인간이 재창조한 회화예술의 위대함을 정선의 가 명징하게 보여준다. 정선은 대상을 음양 원리로 해석하려 했다. 폭포와 고모담 바위가 음을 상징한다면, 오른쪽에 불뚝 솟은 암벽은 남성성인 양을 시사한다. 은근하게 남녀의 성기형태를 끼워넣어 읽는 재미를 더해주었다. 는 폭포 소리를 시각..

프로젝트 연재 2024. 11. 5. 00:25

[도서]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이태호 지음)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목차001. 총론 002. 진경산수화 003. 풍속화 004. 초상화와 동물화 005. 사실주의적 회화론  이태호 (지은이)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를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사를 거쳐 전남대학교 교수, 전남대학교박물관장,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및 박물관장, 문화예술대학원장을 지냈다. 또한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경기도, 충청남도 문화재위원, 국회입법조사처 자문위원, 한국은행 화폐 도안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우현(고유섭) 학술상을 수상했고, 황조근정훈장을 수훈했으며, 현재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다산 숲 아카데미 원장으로 있다.  알라딘 바로가기

진경산수 아카이브 2024. 11. 4. 22:45

[도서]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이태호 지음)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아름다운 우리 땅 그림 순례, 도원을 꿈꾸다 조선 땅을 만나다 2008년 출간된  개정판. 미술사가 이태호 교수가 1980년대부터 30년간 남도부터 금강산까지 직접 찾아 다니며 조선의 독자적인 회화 양식으로 자리 잡은 조선 후기 진경 산수화와 실제 풍경을 비교하고 연구한 살아있는 기록이다. 저자는 겸재 정선과 단원 김홍도를 비롯한 우리 화가들이 눈으로 누리고, 화면에 담아낸 우리 땅의 실제를 찾아 사진에 담았다. 그리고 카메라의 화각을 들어 인간의 보편적인 시각과 화폭에 담긴 산수의 시야를 비교하였다. 영산인 인왕산에서 지금은 다시 갈수 없게 된 금강산까지 저자는 산수화 속 풍경을 수 차례 오르내리며 그림의 실제를 찾기 위해 애썼고 이는 학자 본연의 노력이 돋보이는 ..

진경산수 아카이브 2024. 11. 4. 22:4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전승일의 <AI기술융합 진경산수 미디어아트 프로젝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